관리 메뉴

+ Repository +

[오답노트] 정처기 21-2회차 기억할 핵심 필수내용들 본문

자격증/정보처리기사

[오답노트] 정처기 21-2회차 기억할 핵심 필수내용들

jaeti 2022. 4. 19. 22:51

• 액터 :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사람 or 시스템

- 주액터 : 사용자 액터

- 부액터 : 시스템 액터

+ 연동 = 양방향.

+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= 사용자의 요구 추출분석

 

• GoF 디자인 패턴

- Bridge pattern : 구현부에서 추상층 분리해 각자 독립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함

- Adapter pattern : 기존에 구현된 클래스에 기능 발생시 기존클래스 재사용 ㄱㄴ하도록 중간에서 맞춰준다.

 

• CASE의 원천기술

- 구조적 기법

- 프로토타이핑 기술

- 정보 저장소 기술

- 분산 처리 기술

- 자동 프로그래밍 기술

 

• 아키텍쳐 스타일

-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: 컴포넌트가 다른 컴포넌트에 서비스 요청. 데이터가 여러 컴포넌트 거치며 처리된다.

- 계층 구조 : 모듈들로 응집된 계층 단위로 SW구성. 계층간에 사용가능한 관계로 표현된다.

- MVC 구조 : 모델 뷰 컨트롤러 기능을 분리한 아키텍처

- 파이프 필터 구조 : 파이프를 통해 받은 데이터 변경시킴, 그 결과를 다시 파이프 통해 전송.

 

스택 이용 연산(LIFO) : 재귀호출 + 후위표현의 여난 + 깊이 우선 탐색

• 큐 이용 연산 (FIFO) : 선택정렬

 

• 병렬 데이터베이스 - 수평분할 : 한 테이블의 각 행을 여러 다른 테이블에 분산시키는 것.

- 라운드 로빈 방법 (행의 고른 분포를 위해 사용)

- 범위 분할

- 해시 분할

 

* 차수 : 속성의 수

* 카디널리티 : 튜플의 수

* 카티션 프로덕트 : 곱집합

 

• 이상 현상

- 삽입 이상 : 삽입 시 불필요한 데이터 함께 삽입해야한다.

- 삭제 이상 : 삭제 시 불필요한 데이터 함께 삭제해야한다.

- 갱신 이상 : 갱신 시 데이터 불일치 발생한다.

 

교착상태의 해결방법

교착상태 : 한정된 자원을 여러 곳에서 사용하려고 할 때 모두 작업수행을 할 수 없이 대기 상태에 놓이는 상태

- Detection (탐지) = 교착상태 발생을 허용, 발생시 원인을 규명하여 해결 (자원 할당 그래프)

- Avoidance (회피) = 교착상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적절하게 피해나가는 방법 (은행원 알고리즘)

- Recovery (복구) = 교착상태 발견 후 현황대기를 배제 or 자원을 중단하는 메모리 할당기법 (선점, 프로세스 중지 = 희생자 선택)

- Prevention (예방) = 교착상태 필요조건 부정,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(환형대기, 비선점, 점유와 대기, 상호배제)

 

 

CIDR 표기 (네트워크) - ipv4 32bit 4x8bit 이다.

- 203.241.132.82/27 과 같이 표기 -> 맨 오른쪽 / 뒤 숫자 = mask 숫자. 1의 갯수이다. (단, 1은 왼쪽부터 채워진다)

이진수 계산해서 마지막 자리 값 10진수로 계산하면 된다.

 

리눅스에서 쉘

- 변수 선언 : export > 매개변수 없이 쓰이면 현재 설정된 환경변수들이 출력된다.> 사용자 생성 변수 export 명령어 x = 지역변수 된다.> 사용자 생성 변수 export 시키면 o = 전역변수 된다.- 변수 출력 : echo $변수명 이다.

 

# 출력과 선언은 다르다! export 있으면 전역, echo 하면 출력 export만 쓰면 현재상태 출력됨

 

 

OSI 7계층 정리  all

7 응용계층 A 응용서비스 - HTTP/ FTP
6 표현계층 P - - -
5 세션계층 S 반이중, 전이중 소켓 -
4 전송계층 T end to end 세그먼트 TCP/UDP
3 네트워크 계층 N 패킷단위 라우터 IP주소
2 데이터링크 계층 D point to point, CRC 오류제어 + Frame단위 스위치, 브릿지 MAC주소
1 물리계층 P 하드웨어 전송기술 관련. 허브, 리피터 -

 

• 접근제어 모델

- Clark Wilson Integrity Model : 비밀 노출 방지보다 자료 변조 방지가 더 중요하다. (금융, 회계 등)

- Chinese Wall Model : 충돌을 야기시키는 어떠한 정보의 흐름도 있어서는 안된다. 이익의 충돌 금지

- Bell Lapadula Model (BLP Model) : 파괴 or 변조보다 기밀성이 강조된다. (알려져서는 안됨 - 군대 보안레벨 등)

 

• 라우팅 프로토콜

- 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)

: 네트워크 변화에 신속 대처, 멀티캐스팅 지원, 최단 경로 탐색에 Digkstra 알고리즘 사용

- RIP

: 거리 벡터 모델 (라우팅 프로토콜)

 

•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 모델

- cocomo

- putnam : 인력 분포 가정

- FT (function point) : 인자별 가중치 부여

 

 

• 코드 기입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

- Additional Error 추가 오류: 한 자리 추가로 입력했을 경우

- Omission Error 누락 오류: 한 자리 생략한 경우

- Transcription Error 필사 오류 : 한 자리 잘못 필사한 경우 (잘못 입력한 경우)

- Transposition Error 전위 오류 : 좌우자리 바꿔서 기록한 경우

- Random Error 임의 오류 : 위 오류 2가지 이상 합쳐진 경우 

 

• SPICE 모델 :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

0~5까지의 단계6개의 수준이 있다. 

- 0단계 : 불안정 (구현 전, 목적 달성 전)

- 1단계 : 수행 (목적 전반적으로 이루어짐)
- 2단계 : 관리 (작업 산출물 인도)

- 3단계 : 확립 (공학 원칙을 지킴)

- 4단계 : 예측 (산출물의 양적 측정 가능, 일관된 수행 가능)

- 5단계 : 최적화 (지속적으로 업무 목적 만족)

 

• 하드웨어 관련 신기술

- N-Screen : 서로다른 N개의 단말기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끊김없이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.

- Memristor (memory + register) : 전원 공급이 끊어져도 다시 전원공급되면 이전 상태 복원된다.

- MEMS : 센서, 엑추에이터 등 기계구조를 다양한 기술로 미세가공 후 전기기계적 동작 가능하게 한 초미세장치

 

(+ SNMP는 하드웨어 관련 신기술 아님.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)

 

• 프로그램 관련 기술

- Stack guard : 메모리상에서 프로그램의 복귀 주소변수 사이에

특정 값을 저장해두었다가 그 값이 변경되었을 경우 오버플로우 상태로 가정하여 프로그램 실행 중단한다.

- ASLR : 프로그램 실행 시 마다 랜덤화해서 추적 어렵게하는 방법.

 

침입 차단 시스템 (방화벽)

- Screened Subnet : 외부&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두는 완충적 통신망.

 

+ Nmap : 서버에 열린 포트 정보를 스캐닝해서 보안 취약점을 찾는데 활용한다.

 

+ FTP : 응용계층 프로토콜

+ mkdir : 디렉토리 생성하는 명령어

Comments